728x90
🏡 [입주꿀팁] 보일러 고장? 전등 나감? 누가 고쳐야 하나요 – 월세 ,전세 완전 정리
이사하고 나면 바로 부딪히는 고민,
“이거… 내가 고쳐야 하나요? 집주인한테 말해야 하나요?”
특히 보일러, 전등, 샤워기, 수도꼭지 등
생활에 필수적인 부분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는 더 난감하죠.
이번 포스팅에서는
월세와 전세 모두 적용 가능한 수리 책임 기준을
표로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.

✅ 기본 원칙: '건물 보존'은 집주인 책임, '소모품·사용 중 손상'은 세입자 책임
항목책임자설명
보일러 전체 고장 | 집주인 | 기본 설비로 주인 책임 |
보일러 동파 | 세입자 | 난방 관리 실패 시 책임 가능 |
수도 누수 (배관) | 집주인 | 배관 노후는 주인 몫 |
주방 수도꼭지 고장 | 세입자 | 일상 사용 중 파손 범주 |
콘센트 안 됨 | 집주인 | 벽 내부 전기선 문제 |
전등 나감 | 세입자 | 소모품으로 세입자 부담 |
샤워기/호스 고장 | 세입자 | 교체 소모품 |
변기 막힘 | 세입자 | 일상 사용 중 문제 |
변기 파손 | 세입자 | 부주의 파손시 부담 |
도어락 배터리 | 세입자 | 소모품 |
도어락 본체 고장 | 집주인 | 장비 자체 문제 |
방충망 찢어짐 | 세입자 | 사용 중 파손 |
창문 안 닫힘/창틀 하자 | 집주인 | 구조 설비 문제 |
화장실 거울 파손 | 세입자 | 실수로 깨진 경우 |
💡 전세 vs 월세, 책임 기준이 다를까?
결론: 크게 다르지 않지만, '특약' 유무가 갈라진다!
전세 계약은 보통 명확한 기준이 계약서에 명시되는 반면,
월세 계약은 소액 보증금 특성상 책임이 애매한 경우가 많습니다.
추천 특약 문구 예시:
"임대인은 주요 설비(보일러, 배관, 콘센트 등)의 수선의무를 진다.
소모품(전등, 배터리, 수도꼭지 등)은 임차인이 부담한다."
📎 마무리 꿀팁 요약
- ✔️ 기본 설비는 집주인, 소모품과 사용 중 파손은 세입자
- ✔️ 계약 전 특약 조항 명시 필수
- ✔️ 입주 전 사진, 고장 상태 기록해두기
- ✔️ 문제 발생 시 표 기준 + 계약서 특약 참고해 판단
728x90
'💰 전세,월세 임대인&임차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《2025 서울 공공임대·장기전세 청약 가이드|자격, 일정, 후기 총정리》 (34) | 2025.06.05 |
---|---|
집주인이 수리 안 해줄 때, 이렇게 대응하세요 – 내용증명부터 처리 절차까지 (16) | 2025.05.06 |
집 구하기 전에 꼭 물어봐야 하는 질문 7가지 – 실제 임차인 기준 (17) | 2025.05.03 |
[실전꿀팁.zip] 이사 전날 체크리스트 – 이거 안 하면 피봅니다! (31) | 2025.05.02 |
보증금 못 돌려받을 때, 하루라도 빨리 이거 하세요 (임차권 등기 명령) (33) | 2025.05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