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💰 전세,월세 임대인&임차인

보일러 고장? 변기 막힘? 집주인 vs 세입자 책임표 정리

728x90

🏡 [입주꿀팁] 보일러 고장? 전등 나감? 누가 고쳐야 하나요 – 월세 ,전세 완전 정리

이사하고 나면 바로 부딪히는 고민,
“이거… 내가 고쳐야 하나요? 집주인한테 말해야 하나요?”
특히 보일러, 전등, 샤워기, 수도꼭지 등
생활에 필수적인 부분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는 더 난감하죠.
이번 포스팅에서는
월세와 전세 모두 적용 가능한 수리 책임 기준
표로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.


수리 비용 누가 처리하나

✅ 기본 원칙: '건물 보존'은 집주인 책임, '소모품·사용 중 손상'은 세입자 책임

항목책임자설명
보일러 전체 고장 집주인 기본 설비로 주인 책임
보일러 동파 세입자 난방 관리 실패 시 책임 가능
수도 누수 (배관) 집주인 배관 노후는 주인 몫
주방 수도꼭지 고장 세입자 일상 사용 중 파손 범주
콘센트 안 됨 집주인 벽 내부 전기선 문제
전등 나감 세입자 소모품으로 세입자 부담
샤워기/호스 고장 세입자 교체 소모품
변기 막힘 세입자 일상 사용 중 문제
변기 파손 세입자 부주의 파손시 부담
도어락 배터리 세입자 소모품
도어락 본체 고장 집주인 장비 자체 문제
방충망 찢어짐 세입자 사용 중 파손
창문 안 닫힘/창틀 하자 집주인 구조 설비 문제
화장실 거울 파손 세입자 실수로 깨진 경우
 

💡 전세 vs 월세, 책임 기준이 다를까?

결론: 크게 다르지 않지만, '특약' 유무가 갈라진다!
전세 계약은 보통 명확한 기준이 계약서에 명시되는 반면,
월세 계약은 소액 보증금 특성상 책임이 애매한 경우가 많습니다.
추천 특약 문구 예시:

"임대인은 주요 설비(보일러, 배관, 콘센트 등)의 수선의무를 진다.
소모품(전등, 배터리, 수도꼭지 등)은 임차인이 부담한다."

 


📎 마무리 꿀팁 요약

  • ✔️ 기본 설비는 집주인, 소모품과 사용 중 파손은 세입자
  • ✔️ 계약 전 특약 조항 명시 필수
  • ✔️ 입주 전 사진, 고장 상태 기록해두기
  • ✔️ 문제 발생 시 표 기준 + 계약서 특약 참고해 판단

 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