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🔍 부동산 실전 도구 사용법

맹지일 수도 있다? 지적편집도로 도로접합·사도 여부 확인하는 법

728x90
728x90

🗺️ 지적편집도로 맹지 여부 확인하는 법

🚧 도로 접합, 국유지·사도 여부까지 한눈에 파악하는 실전 분석

안녕하세요.
오늘은 경매·재개발·협소주택 투자 시 반드시 체크해야 할 핵심 포인트, 바로 **‘접도 조건과 맹지 여부’**를 확인하는 방법을 정리해봅니다.

특히 지적편집도부동산플래닛을 함께 활용하면,
‘이 물건이 도로와 붙어 있는지’, ‘공도인지 사도인지’, ‘맹지일 가능성은 없는지’를 아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📍 실전 예시 주소

서울특별시 성북구 아리랑로6가길 22-4
→ 차량 진입이 어려운 골목 안쪽 필지로, 맹지 가능성이 높은 구조입니다.

 

부동산 플래닛 검색

 

 


✅ STEP 1. 부동산플래닛 접속 & 주소 검색

🔗 부동산플래닛 바로가기
상단 검색창에 주소 입력: 성북구 아리랑로6가길 22-4
→ 지도 우측 메뉴에서 ‘지적도’ 레이어 활성화

지적도


 

 

✅ STEP 2. 도로 조건 + 소유자 정보 확인

좌측 정보 패널에서 아래 정보를 확인합니다:

  • 도로 조건: “도로로 지정되지 않음” → 맹지 가능성
  • 접한 도로 필지(172-21)의 소유자: 개인 (1962년 등록) → 사도

개인 3명에 공유자

 

1962년 7월 27일  개인 공유자 3인 등록 


📌 핵심 요약 테이블

항목결과
도로 접합 도로명 부여 도로 없음
접한 도로 사유지 (사도)
도로 조건 도로로 지정되지 않음
맹지 가능성 매우 높음

✅ STEP 3. 왜 이게 중요한가요?

  • 맹지는 건축허가 제한이 생깁니다.
  • 사도는 통행권 분쟁·도로사용료 이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대출 심사에서 담보 취급 거절이나 감정가 하락 우려도 큽니다.

📋 실전 체크리스트

체크 항목판단 기준
접도 여부 공도(도로명 있음)에 접합되어 있는가?
도로 소유자 사도인지, 국유지인지
도로 폭 4m 이상인가? (건축 기준)
진입 방식 단독 진입 or 공유 진입로 여부
건축 가능성 구청 도시과·건축과에 사전 협의 필요

💡 투자자 팁

“도로처럼 생겼다” = 도로가 아닙니다!

  • 지도에서 길처럼 보이는 공간이라도
    👉 지적도상 도로가 아니면 건축 불가
  • 사도 통행권 분쟁, 재개발 시 환지 불이익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지적도 + 토지대장 + 건축물대장은 반드시 함께 확인하세요.

📚 함께 보면 좋은 글


 

이제 지적도만 봐도 ‘건축 가능한 땅인지’ 감이 옵니다.
실전 투자, 맹지 분석부터 시작해보세요.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