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🔍 부동산 실전 도구 사용법

노후도 한눈에! 재개발·상가 투자 전 부동산플래닛으로 분위기 먼저 보세요

728x90

🧭 부동산플래닛 실전 활용법 – 재개발 입지·노후도 분위기 확인, 이게 핵심입니다

안녕하세요. 오늘은 실거래가나 공실률이 아닌, 노후도·개발 가능성·입지 분위기를 빠르게 파악하고 싶은 투자자 분들을 위한 도구, ‘부동산플래닛’ 활용법을 소개합니다.

이 글은 특히 이런 분들께 추천드려요:

  • 📌 “여기 재개발 가능성 있나?” 빠르게 분위기만 파악하고 싶은 분
  • 📌 “건축물대장이나 토지이음 보기 전에 대략적으로 훑어보고 싶어요” 하는 초보 투자자

✅ STEP 1. 지역 검색으로 단지 or 동네 먼저 확인

📍

부동산 플래닛

 

→ 좌측에 지도 + 단지 개요 + 노후도/입지 항목이 자동 표시됩니다.


✅ STEP 2. ‘노후도’와 ‘건축연도별 색상지도’ 보기

📍

 

노후도 색상지도 예시 화면

오른쪽 위쪽에 노후도 클릭

 

 

1995년 30년 된 건물 이렇게 확인 가능

 

  • 지도 상에 연식별로 색상이 달라지며, 오래된 지역일수록 진한 색상
  • 단지별 건축년도와 주변 건물의 노후도 흐름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.

🔎 활용 포인트:

  • 80~90년대 준공 건물 밀집 → 재개발 가능성 존재
  • 주변이 모두 최근 신축 → 단독 개발 어려움 예상

📌 투자자 체크

  • 정비구역 지정 전 분위기 파악에 효과적
  • 유사 입지 비교 시 참고 지표로 유용

✅ STEP 3. ‘생활환경’, ‘교통’, ‘입지 분위기’ 간단 확인

📍

단지 요약 정보 화면

 

 

단지 요약 정보 화면

 

 

  •  좌측 패널에 학군, 교통, 인프라 정보 간략하게 요약되어 있음
  • '역세권' 여부나 도보거리, 주요 상권 접근성 등을 파악 가능

💬 “건물 하나 보려다 지역 전체 분위기까지 훑게 된다”는 리뷰처럼, 처음 임장을 준비할 때 빠르게 감을 잡는 데 유용합니다.


✅ 정리: 부동산플래닛은 감정가 보는 곳이 아닙니다

항목확인 가능한 기능투자에 어떻게 쓰이나?
노후도 지도 건축년도별 시각화 재개발 가능성 예측
지역 분위기 입지 요약 정보 제공 임장 전 분위기 확인
학군/교통 간단 요약형 정리 실거주 수요 판단 자료

📌 이 플랫폼은 ‘가격 확인용’보단 정성적 흐름 파악용으로 쓰는 게 맞습니다. 상세 시세나 매물 확인은 네이버 부동산, 실거래가는 국토부 시스템이 더 적합합니다.


📚 함께 읽으면 좋은 글

 

《호갱노노 보는 법 – 전세·매매 갭과 실거래 흐름, 이렇게 보면 다 보입니다》

🏠 호갱노노 보는 법 – 실거래 흐름과 갭 분석의 핵심 도구"전세랑 매매 차이가 이 정도라고?" 실전 분석 이렇게 시작하세요👉 “경매 물건에 입찰 전, 이 흐름을 먼저 안 보면 낭패 볼 수도 있

bidlog.tistory.com

 

 

 

 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