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🔍 부동산 실전 도구 사용법

실거래가·공시지가만 알아도 반은 성공! 투자자를 위한 핵심 보는 법

728x90

🏠 국토부 실거래가 + 공시지가 시스템, 이렇게 보면 투자 판단 쉬워집니다

안녕하세요. 오늘은 부동산 투자에서 가장 기초이자 핵심인 **‘국토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’과 ‘공시지가 조회 시스템’**을 활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.

“실거래가는 어떻게 확인하죠?” “공시지가는 세금이랑 어떤 관계가 있나요?” 이런 질문, 부동산 투자자라면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.

이번 글에서는 실전 사례 중심으로 두 사이트를 어떻게 활용하는지, 그리고 어떤 투자 판단에 연결할 수 있는지를 알려드릴게요.


📌 실전 예시: 신림동 00아파트 시세 분석

A씨는 최근 경매로 나온 신림동 A아파트에 관심이 생겼습니다. 감정가는 3.3억이지만, 실제 시세가 어떤지는 몰라 고민 중이었죠.

바로 여기서 우리가 사용할 도구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공시가격 알리미입니다.


🔍 ① 국토부 실거래가 시스템 – 실거래 흐름 읽기

📎 사이트 주소: rt.molit.go.kr

 

 

 

💡 STEP 1: ‘아파트’ 선택 → 주소 또는 단지명 검색
예: 서울 관악구 신림동 입력 후, 해당 단지 선택

💡 STEP 2: 거래년도 설정 (예: 2024년~2025년)
→ 월별 거래 데이터 리스트 확인

실거래
(주소 입력창과 단지명 리스트)

 

(전용면적, 층수, 거래가 등)

 

✅ 투자자 체크포인트:

  • 최근 3개월 평균 시세 확인 → 감정가와 비교
  • 해당 평형 실거래 패턴 파악 → 급매 or 상승구간 여부
  • 층수/방향별 가격 차이 참고 → 동일단지라도 편차 발생 가능

🧾 ② 공시지가 시스템 – 세금과 투자 전략 판단에 핵심

📎 사이트 주소: www.realtyprice.kr (=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)

 

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

 

 

💡 STEP 1: 주소 입력 → 조회 → 단독주택, 아파트, 토지 선택 가능

💡 STEP 2: 표준지 or 개별공시지가 확인
→ 종합부동산세/재산세 기준이 되는 공시가격 확인 가능

 

 

 

개별공시지가 상세 정보

 

✅ 투자자 체크포인트:

  • 공시지가 대비 보증보험 가능 전세금 한도 확인 (HUG 기준 126%)
  • 세금 부담 예측: 9억 초과 여부에 따른 종부세, 보유세 계산
  • 실거주/임대 전략 구상 시 세금 시뮬레이션용 기준

🔄 실거래가 vs 감정가 비교는 어떻게?

A씨 사례로 돌아가 보죠. A아파트의 감정가는 3.3억인데, 최근 실거래가는 3.1억 수준입니다. 공시지가는 2.7억이며, 보증보험 가능 전세금 한도는 약 3.4억.

→ 이 경우 감정가가 다소 높지만, 공시가 기준으로는 전세 세팅이 가능하므로 투자 전략은 **‘보증보험 전세 맞춰 수익형 설계’**가 가능합니다.


🧠 정리: 이 두 가지 시스템만 알아도 반은 먹고 들어갑니다

항목핵심 기능투자 활용법

실거래가 시스템 아파트 실거래 흐름 확인 시세 비교 / 낙찰가 판단 기준
공시지가 시스템 세금 기준 확인 / 보증보험 한도 확인 임대전략, 세금시뮬에 활용 가능
 
728x90